컴퓨터 활용능력 1과목 컴퓨터 일반
문자표현코드
모든 컴퓨터는 이진법으로 작동합니다.
이진법은 0과 1로 모든 것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컴퓨터를 활용하여 글을 쓰거나 문서를 작성할 때
컴퓨터는 그 문자를 0과 1로 이루어진 패턴을 통해 인식하는데요.
이렇게 우리가 쓰는 문자를 컴퓨터가 인식하는 2진법의 패턴으로 바꿔
컴퓨터가 문자를 표현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문자 표현 코드”라 말 합니다.
BCD코드
6비트 - 2개의 zone 4개의 digit
2의 6승 64개 문자 표현 가능
ASCII코드
7비트 - 3개의 zone 4개의 digit
2의 7승 128개 문자 및 숫자 표현 가능
데이터 통신용, 개인용 컴퓨터
패리티 비트(Parity Bit) 사용
확장 ASCII코드
8비트
2의 8승 256개의 문자 및 숫자 표현 가능
EBCDIC코드
8비트 4개의 zone 4개의 digit
2의 8승 256개 문자 표현 가능
IBM에서 제정한 표준코드
대형컴퓨터에서 사용
UNI코드
16비트
2의 16승 최대 65,536자 표현 가능
전 세계 모든 문자 2Byte 표현 (ᐉ - 통합캐나다원주민글자, ᜃ - 타갈로그어)
한글의 조합형, 완성형, 옛글자 표현 가능
정보처리, 정보 교환용
오류검출코드
해밍 코드(hamming code)
오류 검출코드
컴퓨터 스스로 데이터의 오류 검출, 수정
패리티 비트(Parity Bit)
2진 비트 열에 부가 되는 에러 검출용 비트
가장 간단한 오류 검출 부호
수정은 불가
순환 중복 검사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오류 검사
연속적인 오류에 효과
문제풀이
2013년03월09일 기출문제
○ 다음 중 7개의 데이터 비트(data bit)와 1개의 패리티 비트(parity bit)를 사용하며, 128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코드로 옳은 것은?
1. BCD 코드
2. ASCII 코드
3. EBCDIC 코드
4. UNI 코드
답: 2번
풀이
1. BCD 코드 - 6비트 2개의 zone 4개의 digit 64개의 문자 표현 가능
2. ASCII 코드 - 3개의 zone 4개의 digit 128개의 문자 표현 가능
3. EBCDIC 코드 - 8비트 4개의 zone 4개의 digit 256개 문자 표현 가능
4. UNI 코드 - 16비트 최대 65,536개의 문자 표현 가능
※ 패리티 비트(parity bit)는 문자 표현 코드가 아닌 에러검출 코드로 문자 표현 수에 포함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