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여전히 징병제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군대'라는 것이 익숙합니다. 하지만 군대에 관심이 없거나 군 복무를 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군 계급 체계에 대해 잘 알지 못할 텐데요. 우리나라 군대 계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군대 계급의 분류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건강한 남성이라면 누구나 '군대'를 가야하는 의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군대라는 조직은 상병하복(上命下服)의 질서가 엄격한 곳인데요. 때문에 상하 관계를 나누고 지휘 계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계급 체계를 만들었습니다.
우리나라 군대의 계급은 크게 장교, 준사관, 부사관, 병사로 나눌 수 있는데요. 이 구분에서 더 나누면 총 20개의 계급으로 군인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접하고 익숙한 이병, 일병, 상병, 병장과 같은 징병제로 입대하게 되는 병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간부 계급이라 볼 수 있는데요. 이 군대 계급의 서열을 따지자면 장교 > 준사관 > 부사관 > 병사로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계급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병사의 계급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일반 병사는 징병제를 통해 입대한 분들이 받게되는 계급입니다. 이 병사 계급은 입대를 한다고 해서 무조건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닌데요. 훈련소로 입대 해서 각종 훈련을 거쳐 수료 후 자대 배치를 받으면 처음 이등병의 계급을 받게 됩니다. 이후 진급을 통해 일등병, 상등병, 병장으로 진급하게 되는데요. 일반 병사는 군 생활 중에서 분대장, 분대원의 보직을 맡을 수 있습니다.
부사관의 계급
부사관은 병사와 장교의 중간에 위치한 계급입니다. 병사들과 가장 가까운 계급이라 볼 수 있는데요. 부사관이 되기 위해서는 일반 병사에서 진급하거나 부사관 시험을 통해 임관할 수 있습니다.
부사관의 계급은 하사, 중사, 상사, 원사로 나눠져 있는데요.
하사는 보통 분대장 및 부소대장의 보직을 가지며, 중사는 부소대장 및 훈련 중에 한해 중대장의 보직을 맡게 됩니다. 상사는 중대의 살림을 담당하는 행정보급관 혹은 대대 관리관을 맡으며, 원사는 부대 주임원사 및 행정보급관 보직을 맡게 됩니다.
준사관의 계급
준사관이란 말은 많이 못 들어보셨을 텐데요. 준사관에 속하는 계급은 '준위' 하나뿐입니다. 현행법상으로는 준위와 사관생도가 포함되지만, 현장에서는 준위만을 말하는데요. 준위가 되기 위해서는 부사관으로 임관해 상사 이상의 계급에 도달해서 시험을 통해 임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이하게 민간인이 시험을 통해서도 임관이 가능합니다.
준위의 경우는 자신의 주특기 분야의 참모로 일하며 다른 업무는 하지 않는데요. 계급으로 보면 부사관의 위고, 장교의 아래에 위치합니다.
장교의 계급
군인 중에서 가장 높으면서 가장 많은 계급을 가진 장교는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위관장교
먼저 '위관장교'는 사관학교 또는 학군단(ROTC)를 통해 임관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소위로 임관하여 소대장의 보직을 맡게 됩니다. 이후 진급하여 소대장∙부중대장의 보직을 맡는 중위, 중대장∙대대 참모 등의 보직을 수행하는 대위로 진급하게 됩니다.
영관장교
영관장교는 대위에서 진급을 통해 달 수 있는 계급입니다. 처음 달게 되는 소령은 동원대대장∙부대대장 등의 보직을, 중령은 대대장∙동원 연대장을 맡게 되며, 대령은 연대장∙부사단장∙부여단장 등의 보직을 수행하게 됩니다.
장성 장교
장성 장교는 장교 중 가장 높은 계급으로 우리가 흔히 '장군'이라 부르게 되는 계급입니다. 장성 장교가 되면 각 군의 최고 지휘관의 보직을 맡게 되는데요.
첫 장성장교가 되는 '준장'은 보통 여단장의 보직을 맡게 되며, 이때부터 사령관의 호칭으로 불리게 됩니다.
이후'소장'이 되면 1만여 명의 병력을 이끄는 사단장을 주로 맡게 되고, '중장'으로 진급하게 되면 각 군의 사관학교장∙교육사령관∙인사사령관 등의 보직을 수행하게 됩니다.
장교에서 가장 높은 계급인 '대장'은 그 인원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총 7명의 대장이 있는데요.합동참모 의장, 육∙해∙공군 참모총장, 육군 1∙2군 사령관, 한미 연합사령부 부사령관이 대장의 계급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대장은 같은 대장이지만 의전 순서가 있는데요. 합참의장 > 육군 참모총장 > 해군참모총장 > 공군참모총장 > 그 외 3명의 대장의 순서로 의전을 하게 됩니다. 3명의 장군의 의전 순서는 진급일이 빠른 순서로 서열을 정하게 된
다고 합니다.
원수
여기 계급표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원수라는 계급도 존재하는데요. 대장의 계급장이 별 4개였다면 원수는 별 5개의 계급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원수로 임명된 사람이 없는데요. 원수는 국가에 뚜렷한 공적이 있는 대장 중에서 임명하게 되며, 국방부 장관의 추천과 국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게 됩니다. 하지만 현재는 형식적인 계급으로 남겨져 있어 한국군 창설 이후 원수 계급을 받을 사람이 없다고 합니다.
오늘은 우리나라 군인 계급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우리나라를 지켜주는 군인들과 만나게 됐을 때 계급을 알고 있다면 군인들과의 소통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되는데요. 군인들의 계급 기억하도록 합시다!
감사합니다.
글에 오류가 있거나 오타가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