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들의 이름을 보면 ‘조(祖)’나 ‘종(宗)’이 뒤에 붙죠,
태조, 세종, 영조, 고종 등 어느 왕에게는 ‘조’가 어느 왕에게는 ‘종’이 붙습니다.
이 ‘조’와 ‘종’이 붙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일단 이 ‘조’나 ‘종’이 붙는 왕들의 이름을 ‘묘호(廟號)’라고 부릅니다.
왕이 생전에 불리던 이름이 아닌 사후에 신하들에 의해 지정되는 이름이죠.
그러니 이 묘호는 왕의 생애나, 업적 등에 의해결정이 되는데요.
원칙적으로는 ‘조(祖)’는 나라를 건국 했을 때 쓰이고,
그 외에는 나라를 잘 유지했다는 의미로 ‘종(宗)’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고려의 왕에서 ‘조(祖)’를 쓰는 왕은 고려를 건국한 태조 왕건 뿐이라 합니다.
그런데 조선의 왕 중에는 총 7명의 왕이 ‘조(祖)’를 사용하는데요,
조선이 7번 건국 된 것도 아닌데 왜 7명이나 ‘조(祖)’ 사용했을까요.
조선 왕조에는 나라를 건국한 태조 이성계 이외에도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가 '조'를 묘호로 가지고 있습니다.
이 ‘조(祖)’는 사실 나라의 건국을 했을 때뿐만 아니라
큰 국난을 극복하거나, 국가의 정통을 다시 세운 왕에게도 쓰인다 합니다.
그래서 임진왜란을 겪은 왕인 '선조', 병자호란을 겪은 '인조'가 ‘조(祖)’의 묘호를 가졌고,
단종의 왕의를 뺏은 '세조'는 새로운 왕조를 시작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조'를 사용했습니다.
이 외에 '순조, 영조, 정조'는 위 사례와는 다른 경우인데요,
모두 처음에는 종의 묘호를 가지고 있어 '순종, 영종, 정종' 으로 불렸습니다.
그러다 왕권 강화와 정통성 확립을 위해 순조는 철종 때에, 영조와 정조는 대한제국을 선포한 고종때에 '조'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그 외에도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뒤주에 갇혀 죽은 것으로 잘 알려진 ‘사도세자’ 또한 ‘조(祖)’의 묘호를 가지고 있는데요.
정조가 자신의 아버지인 사도세자를 기리기 위해 장헌세자라 추존하였고,
대한제국 선포 후 1899년 고종이 '장조'로 추존하였다고 합니다.
고종은 또한 헌종의 아버지인 효명세자를 '문조'로 추존하기도 했습니다.
효명세자는 헌종이 왕위에 오르자 '익종'으로 추존되었고,
고종의 계승상의 문제로 익종의 양자로 들어갔기 때문에
자신의 정통성을 위해 '문조'로 추존한 것입니다.
이렇게 ‘조(祖)’의 묘호를 가진 것은 9명이지만
조선왕조에서 직접 왕위를 계승한 왕에서는 7명이라 볼 수 있죠.
그러니 27명의 조선 왕 중에서 이 7명과
군의 묘호를 사용하는 연산군, 광해군 2명을 제외하면 18명은 ‘종(宗)’의 묘호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종(宗)’의 묘호를 가지고 있는 추존 왕도 3명이 더 있는데요.
인조의 아버지 '원종(元宗)', 성종의 아버지 '덕종(德宗)', 영조의 맏아들 '진종(眞宗)'
모두 정통성을 위해 ‘종(宗)’으로 추존된 왕들입니다.
우리가 지금 생각하기엔 ‘조’나 ‘종’이나 뭐가 그리 중요하다고 이렇게 바꾸고, 추존왕을 만들고 그랬나 싶지만 당시에는 혈통이나 정통성 확보가 매우 중요한 일이었습니다.
'철종'이 왕이 된 것만 봐도 알 수 있죠.
묘호는 그저 이름 외우는 정도로 생각했었는데
이렇게 뒷 이야기가 있는게 참 신기하고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글에 오류가 있거나 오타가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