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저識

사용자 매뉴얼/메뉴얼? 올바른 표기는? 그 물품의 매뉴얼/메뉴얼은 영어로 쓰여있었다. 어떤 물건을 구매하거나, 프로그램을 설치했을 때, 처음 접하는 것에 사용방법을 숙지하기 위해 피요한 물건의 사용 설명서를 지칭하는 단어인 'manual'은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말인데요. 말로는 자주 사용하지만 직접 한글로 쓰는 일이 적기 때문에 '매뉴얼과 메뉴얼' 중 어떤 것이 맞는 표기인지 헷갈리곤 하는데요. 외래여 표기 중 헷갈리는 단어인 manual의 정확한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anual이란 manual [명사] 내용이나 이유, 사용법 따위를 설명한 글. 'manual'은 어떤 물건이나 어떤 행동에 대한 안내사항이 담겨있는 글을 의미하는 외래어입니다. 우리말의 ‘설명서’, ‘안내서’, ‘지침서’로 순화할 수 있는 단어인데요. 그럼에.. 더보기
한글 문서 한 페이지에는 몇 글자가 들어갈까 과제나 공모전 제출을 할 때 글자 수 제한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마다 문서를 작성하고 글자 수를 세는 과정을 거쳐야 해서 번거롭곤 한데요. 이런 과정을 줄이기 위해 대략적인 글자 수를 알 수 있다면 어떨까요? 우리가 이런 문서 작업을 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고 익숙한 프로그램은 아마 ‘한컴오피스 한글’일텐데요. 이 한글의 기본 글자 수를 알고 있다면 글자 수를 세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겠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한컴오피스 한글의 한 페이지에는 몇 글자가 들어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한컴오피스 한글이란? ‘한컴오피스 한글’은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한 한국의 대표적인 문서작성 프로그램입니다. 정식 명칭은 ‘ᄒᆞᆫ글’이지만 평소에 아래아를 잘 사용하지 않고 입력하기도 어려워 그냥 ‘한글’이라 부르며,.. 더보기
웬만하면 왠만하면 왠과 웬의 구분법 웬만하면 이런 부탁은 잘하지 않는다. 왠만하면 이런 부탁은 잘하지 않는다. 우리가 평소에 너무나도 자주 사용하는 '웬만하면/왠만하면'입니다. 하지만 자주 사용하는 만큼 많이 헷갈리는 단어 이기도 한데요. 웬과 왠의 구분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웬과 왠의 의미 먼저 웬과 왠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웬 1. [관형사]어찌 된 예) 웬 겁이 그렇게 많아? 2. [관형사]어떠한 예) 웬 놈이 와서 아는 척을 한다. '웬'은 관형사로 '어찌 된', '어떠한'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웬일이야 등과 같이 어찌 된, 어떠한의 의미인데요. '왠'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보겠습니다. 왠 '웬'의 비 표준어 네이버 국어사전에서 '왠'의 의미를 '웬'의 비표준어로 정의하고 있는데.. 더보기
그새와 그세 맞는 말 알아보기 그 꼬마가 그새 이렇게 컸나? 그 꼬마가 그세 이렇게 컸나? 짧은 시간의 경과를 의미하는 '그새/그세', 대화에서 자주 사용하는 이 말은 많이들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 손으로 쓰는 일도 많지 않기 때문에 더 헷갈리곤 하는데요. 정확한 맞춤법과 구분법 알아보겠습니다. 그새와 그세의 의미 먼저 그새와 그세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그새 [명사] '그사이'의 준말 예) 그새를 못 참고 뛰쳐나갔다. 그사이 [명사]조금 멀어진 어느 때부터 다른 어느 때까지의 비교적 짧은 동안. 예) 그사이를 못참고 뛰쳐나갔다. 그세 [부사] '금세'의 방언(전남) '그새'와 '그세'의 의미를 확인해봤습니다. '그새'는 '짧은 동안'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그사이'의 준말이었고, '그세'는 '바로 지금, 방금'의 의미를 가.. 더보기
금새? 금세? 금새와 금세 쉽게 구분하기 바닥에 뿌린 물이 금새 말랐다. 바닥에 뿌린 물이 금세 말랐다. 우리가 평소 짧은 시간을 말할 때 사용하는 '금새' 와 '금세' 둘 중 어느 말이 맞는 말일까요? 자주 사용하는 단어이니만큼 많이 헷갈리는데요. '금새' 와 '금세'의 구분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새와 금세의 의미 금새 (명사) 물건의 값. 또는 물건값의 비싸고 싼 정도 예) 그 물건은 그 정도 금새가 아닌 거 같다. 금새는 물건의 값을 칭하는 말로 '금새(를) 치다'와 같은 관용구로 쓰입니다. 금세 (부사) 지금 바로. '금시에'가 줄어든 말로 구어체에서 많이 사용된다. 예) 여기 있던 사람이 금세 사라졌다. 금세는 '바로 지금'이라는 뜻의 '금시'와 '에'가 결합한 단어인 '금시(今時)에'가 줄어든 단어로 '지금 바로'라는 의미를 가.. 더보기
눈에 띤다? 눈에 띈다? 띠다와 띄다 구분법 저 가게는 간판이 눈에 띤다/띈다 '띠다'와 '띄다'는 우리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헷갈리는 단어이기도 한데요. '띠다'와 '띄다'의 의미와 구분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띠다 띠다는 동사로 '-에 ~을'의 형식으로 사용되거나 ~을과 함께 사용되는데요. 먼저 띠다의 사전적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1. 띠나 끈 따위를 두르다. 예) 공부를 하겠다 다짐하고 머리에 끈을 띠었다. 2. 물건을 몸에 지니다. 예) 추천서를 띠고 회사를 찾아갔다. 3. 빛깔이나 색채 따위를 가지다. 예) 오늘 밤은 달이 붉은빛을 띠고 있다. 4. 감정이나 기운 따위를 나타내다. 예) 웃음기를 띤 얼굴 5. 어떤 성질을 가지다. 예) 그 아이는 호전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6. 용무나, 직책, 사명 따위를.. 더보기
던지? 든지? 던과 든 구분하기 밥을 먹던지 빵을 먹든지 맘대로 해라 위 예문에서 틀린 부분이 있을까요? 그렇다면 무엇이 틀렸을까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말인'-던지'와 '-든지' 발음도 비슷하고 쓰이는 위치도 비슷해 헷갈리는 단어입니다. '-던'과 '-든' 어떻게 하면 헷갈리지 않을지 구분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던지'와 '-든지' 먼저 '던지'과 '든지'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던지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1. 막연한 의문이 있는 채로 그것을 뒤 절의 사실과 관련시키는 데 쓰는 연결 어미 예) 얼마나 피곤하던지 눕자마자 잠이 들었다. 든 지 1 (받침 없는 체언이나 부사어, 또는 종결 어미 '-다, 'ㄴ다, '는다, '라'따위에 뒤에 붙어) 1. 어느 것이.. 더보기
가방을 매다/메다. 매다와 메다 학교를 가기 위해 가방을 매다 / 학교를 가기 위해 가방을 메다 우리가 일상에서 너무나도 자주 사용하는 매다와 메다는 두 단어는 중 비문(非文)이 있는 것이 아닌 두 단어의 쓰임이 다른 것인데요. 그 쓰임 또한 비슷해서 더 헷갈리는 단어입니다. 이 헷갈리는 매다와 메다의 구분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매다의 의미 '매다'는 동사로 어려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요. 우리는 흔히 '끈이나 줄을 풀어지지 않게 마디를 만들다'라는 의미로 사용하는데요. 그 외에도 매다가 가지는 여러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을 1. 끈이나 줄 따위의 두 끝을 엇걸고 잡아당기어 풀어지지 아니하게 마디를 만들다 예) 아버지는 출근을 하기 위해 넥타이를 맸다. 2. 끈이나 줄 따위로 꿰매거나 동이거나 하여 무엇을 만들다. 예) 옆집 할아버지는.. 더보기

반응형